왕릉 묘

정난종선생묘및신도비(鄭蘭宗 先生 墓 및 神道碑)

신용짱 2021. 4. 20. 22:38
728x90

2021년4월20일(화) 한남정맥6-01구간 무성봉 산행중 군포시 속달동에 위치한 동래정씨 종택과 정난종 묘및 신도비를 구경하고왔다.

정난종선생묘및신도비(鄭蘭宗 先生 墓 및 神道碑)는 경기도 기념물 제115호이다.

 

▼속달마을 동래군파 종택

군포 동래 정씨 동래군파 종택(軍浦 東來 鄭氏 東來君派 宗宅)은 경기도 군포시 속달동에 있는 조선시대의 종택이다. 2000년 4월 11일 경기도의 문화재자료 제95호로 지정되었다.

▼속달마을 동래군파 종택

▼속달마을 동래군파 종택

▼속달마을 동래군파 종택

▼속달마을 동래군파 종택

동래 정씨 동래군파의 종가이다. 가옥 안채는 조선 정조 7년(1783)에 세운 것으로 추정하며, 사랑채는 고종 14년(1877)에 지은 것이다.

현재 건물은 안채, 사랑채, 작은사랑채, 문간채, 행랑채가 남아 있다. 사랑채는 앞면 5칸으로 왼쪽부터 방 1칸·사랑방 2칸·마루방·행사청 순으로 되어 있어 평면 분할이 독특하다. 작은사랑채는 앞면 3칸으로 공부방으로 사용하였다.

문간채는 앞면 3칸으로 대문·창고로 구성되어 있으며 후에 5칸을 더 지어 안채의 폐쇄성을 높여 주었다. 행랑채는 수해 때문에 가운데 칸이 무너져 있다.

▼동래군파 종택이 위치한  속달마을 까치집풍경

▼동래정씨 동래군파 종택에서 정난종 일가 묘역이 조망된다

▼속달마을 동래군파 재실

▼정난종 일가 묘역 안내

▼정난종일가묘역안내

1989년 6월 1일 경기도 기념물 제115호로 지정되었다. 동래정씨종친회에서 소유, 관리한다. 정난종을 비롯하여 그의 장남 정광보, 차남 정광필과 정광필의 4남 정복겸, 6세 주손 정진원의  등이 신도비와 혼유석, 석등, 동자석, 문인석과 함께 규례대로 갖추어져 있어 조선 전기의 분묘사 및 석비, 금석문 등 고고미술사 연구의 귀중한 자료가 된다.

[네이버 지식백과] 정난종 선생 묘 및 신도비 일원 [鄭蘭宗 先生 墓 및 神道碑 一圓] (두산백과)

▼속달마을 동래군파 정난종 일가 묘역 야생화~조개나물

▼정난종 일가 묘역 진입로 풍경

▼정난종 일가 묘역 최하단 위치한 묘 상석은 있는데 누구의 묘일까 궁금?

▼정난종 일가 묘역 최하단 두번째 위치한 묘 누구의 묘인지 묘비가없네요

▼정난종선생묘 신도비각

▼정난종신도비

▼정난종 일가 묘역 하단에 위치한 정진원의묘~정난종의6세손

▼정진원 墓碑(묘비)

▼정난종(鄭蘭宗, 1433 ~ 1489) 세조 때 문과에 급제하여 검열·이조좌랑·예조참판 등을 지냈고, 봉교로 있을 때 정자청과 함께 서얼 출신의 과거응시를 반대하였다. 1467년 황해도 관찰사로 있을 때 이시애의 난이 일어나자, 반란군을 평정하여 그 공으로 이듬해 호조참판이 되고 동래부원군에 봉해졌다. 1469년 《세조실록》을 편찬했으며, 《예종실록》 편찬에도 참여하였다. 1483년 성종 때 주문 부사로 명에 다녀온 후, 우참찬을 거쳐 이조·공조·호조판서 등을 지냈다.

그는 훈구파의 중진으로 성리학에 밝았으며, 글씨에도 뛰어났는데, 특히 초서와 예서에 능하였다. 글씨로 〈흥천사 종명〉, 〈윤자운 신도비〉 등이 전한다.

▼정난종의 墓-장명등

▼정난종의 墓와 묘비

▼정난종 묘를 지키는 좌측 문인석과 무인석

▼정난종 부인 완산이씨 묘와 묘비

▼정난종과 부인의묘 우측 문인석과 무인석

▼정난종의 장남 정광보(창원공)신도비와 비각

▼정난종의 장남 정광보(창원공)신도비

▼정난종의 장남 정광보(창원공)신도비

본관은 동래(), 자는 운지()이다. 1457년(세조 3)에 태어났으며 성종 때 이조판서를 지낸 정난종()의 첫째 아들이다. 진사시에 합격한 후 여러 관직을 거쳐 정4품 사헌부장령에 올랐다. 연산군에게 직간을 하다가 길주()에 유배되었으나 중종 때 다시 기용되어 창원부사에 임명되었다. 1524년(중종 18)에 사망하였고 사후에 이조판서에 추증되었다.  

▼정난종의 장남 정광보(창원공)墓

▼정난종의 장남 정광보(창원공)墓 좌측 문인석과 망주석

▼정난종의 장남 정광보(창원공) 묘 우측 문인석과 망주석 앞에 동자석

▼정난종의 장남 정광보(창원공)의 묘와 장명등 동자상

▼정난종의 장남 정광보(창원공)墓 상석과 향로석

輔-자는 운지()이다. 1457년(세조 3)에 태어났으며 성종 때 이조판서를 지낸 정난종()의 첫째 아들이다. 진사시에 합격한 후 여러 관직을 거쳐 정4품 사헌부장령에 올랐다. 연산군에게 직간을 하다가 길주()에 유배되었으나 중종 때 다시 기용되어 창원부사에 임명되었다. 1524년(중종 18)에 사망하였고 사후에 이조판서에 추증되었다.

▼정난종의 장남 정광보(창원공)와 부인 : 전의이씨(全義李氏)대호군 이삼격(李三格)의 딸 묘비

▼정난종의 장남 정광보 (창원공)와 부인전의이씨(全義李氏) 묘와 묘비~뒤로 차남 정광필의 신도비각이 보입니다

▼정난종의 차남 정광필(문익공)신도비각 

▼정난종의 차남 정광필(문익공)신도碑

▼정난종의 차남 정광필(문익공翼公)묘와 묘비, 장명등 

▼정난종의 차남 정광필(문익공翼公)묘와 묘비

▼정난종의 차남 정광필(문익공)부인 송씨墓와 묘비

▼정난종의 차남 정광필(문익공)墓 문인석과 망주석(좌측)

▼정난종의 차남 정광필(문익공)墓 문인석과 망주석(우측)

▼정난종의 차남 정광필(문익공翼公)묘 위에 있는 정유청묘와 묘비

▼정난종의 차남 정광필(문익공翼公)묘 위에 있는 정유청묘비

▼정난종의 차남 정광필(문익공翼公)묘 위에 있는 정유청묘 문인석(우측)

▼정난종의 차남 정광필(문익공翼公)묘 위에 있는 정유청묘 문인석(좌측)

▼정광필(문익공翼公)의4남 정복겸과 부인 완산이씨묘

▼정광필(문익공翼公)의4남 정복겸과 부인 완산이씨묘와 묘비

▼정광필(문익공翼公)의4남 정복겸과 부인 완산이씨묘 상석과 향로석

▼정광필(문익공翼公)의4남 정복겸과 부인 완산이씨묘

▼정광필(문익공翼公)의3남 정익겸의 아들 정유신과 파평윤씨의묘와  묘비 문인석 망주석

▼정광필(문익공翼公)의3남 정익겸 사이의 손자 정유신 파평윤시 합장묘

▼정광필(문익공翼公)의3남 정익겸 사이의 손자 정유신 파평윤시 합장묘 문인석 망주석

▼정광필(문익공翼公)의3남 정익겸 사이의 손자 정유신 파평윤시 합장묘 묘비

▼동래정씨 동래군파 묘역 최상단 산신재지내는 상석

▼동래정씨 동래군파 묘역 최상단 좌측으로 내려쓴 또다른묘

▼동래정씨 동래군파 묘역 최상단 좌측으로 내려쓴 또다른묘~속달마을 동래군파종택과 갈치저수지가 내려다보이는 명당자리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