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지정일:1963년 1월21일
해인사를 뒤로 돌아 가야산(伽倻山) 정상으로 올라가는 길 옆의 바위에 돋을새김으로 높이 7.5m의 불상을 표현하였다.
민머리에는 상투 모양의 머리묶음이 크고 높직하다. 미소가 없는 풍만한 사각형의 얼굴에는 날카로운 눈꼬리, 두꺼운 입술, 턱주름 등이 표현되었으며 귀는 어깨에 닿을 듯 길고 목에는 3개의 주름이 뚜렷하다. 어깨는 넓고 당당하여 얼굴과 함께 자신만만한 자세의 불상을 나타내고 있다. 양 어깨에 걸친 옷은 왼쪽 어깨에서 매듭을 지어 고리를 만들었으며, U자형으로 연 가슴에는 내의가 보이고 띠매듭이 있다. 오른손은 어깨까지 들어 엄지 손가락과 가운데 손가락을 맞대었고, 왼손은 검지와 가운데 손가락을 구부려 가슴에 대어 손등을 보이고 있다. 특히 손은 사실적으로 섬세하게 처리하여 생동감이 느껴진다.
머리 뒤에는 단순한 원형의 머리광배가 있을 뿐인데, 이를 지탱하는 자연광배가 몸광배 구실을 겸하는 것 같다. 얼굴과 두 손은 정교하게 조각한 반면 신체는 마치 돌기둥에 새긴 듯 옷주름을 간략하게 처리하였다.
이 불상은 각 부분의 표현이 힘있고 당당하면서도 세부수법에서 세련된 면이 보여 9세기 무렵에 만들어진 마애불상으로 추정된다.
민머리에는 상투 모양의 머리묶음이 크고 높직하다. 미소가 없는 풍만한 사각형의 얼굴에는 날카로운 눈꼬리, 두꺼운 입술, 턱주름 등이 표현되었으며 귀는 어깨에 닿을 듯 길고 목에는 3개의 주름이 뚜렷하다. 어깨는 넓고 당당하여 얼굴과 함께 자신만만한 자세의 불상을 나타내고 있다. 양 어깨에 걸친 옷은 왼쪽 어깨에서 매듭을 지어 고리를 만들었으며, U자형으로 연 가슴에는 내의가 보이고 띠매듭이 있다. 오른손은 어깨까지 들어 엄지 손가락과 가운데 손가락을 맞대었고, 왼손은 검지와 가운데 손가락을 구부려 가슴에 대어 손등을 보이고 있다. 특히 손은 사실적으로 섬세하게 처리하여 생동감이 느껴진다.
머리 뒤에는 단순한 원형의 머리광배가 있을 뿐인데, 이를 지탱하는 자연광배가 몸광배 구실을 겸하는 것 같다. 얼굴과 두 손은 정교하게 조각한 반면 신체는 마치 돌기둥에 새긴 듯 옷주름을 간략하게 처리하였다.
이 불상은 각 부분의 표현이 힘있고 당당하면서도 세부수법에서 세련된 면이 보여 9세기 무렵에 만들어진 마애불상으로 추정된다.
거대한 바위를 다듬어 불상을 고부조< 高浮彫 >하고 발 아래 대좌< 臺座 >를 마련한 이 불상은 머리 뒤에 원형두광< 圓形頭光 >을 얕게 새기고, 나머지 부분을 신광< 身光 >으로 처리한 석주형< 石柱形 >의 거대한 마애불상이다. 얼굴과 두 손을 정교하게 조각한 반면 불신< 佛身 >은 마치 석주< 石柱 >에 새긴 듯 옷주름 등을 간략하게 처리했다 육계< 肉계 >가 높직한 소발< 素髮 >의 머리, 꼬리가 올라간 눈, 융기된 인중이 뚜렷한 비만한 얼굴, 건장하나 평편적인 가슴에 보이는 승각기< 內衣 >, 당당한 왼쪽 어깨에 나타난 고리장식 등은 9세기 초로 추정되는 백률사< 栢栗寺 > 금동약사불입상< 金銅藥師佛立像 >(국보 제28호)과 비교되는 당대의 걸작품이라 하겠다.
'보물탐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물제397호 봉선사대종 (0) | 2012.04.16 |
---|---|
보물제1232호진주청곡사 목조 제석천.대범천의상 (0) | 2012.04.10 |
보물제999호해인사건칠희랑대사좌상 (0) | 2012.04.10 |
보물제1273호해인사영산회상도 (0) | 2012.04.10 |
보물제1253호해인사대적광전홍치산년명동종 (0) | 2012.04.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