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네스코세계문화유산

조선왕릉 洪陵- 裕陵(홍릉유릉)

신용짱 2019. 9. 21. 16:52
728x90

2019년723일 무더위속에 유네스코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된 조선왕릉중 경기도 남양주시 금곡동141-1 번지에있는 洪陵- 裕陵(홍릉유릉) 구경을 다녀왔다. 스마트폰에 담겨진 洪陵- 裕陵(홍릉유릉)의 모습을 펼쳐봅니다



 洪陵- 홍살문에서 인증샷-洪陵- 裕陵(홍릉유릉)은 사적제207호로 지정되어있으며

  洪陵- 裕陵(홍릉유릉)은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된 조선왕릉중 고종황제와 명성황후의 합장릉과  순종황제의합장 릉이 함께 있으며 조선의 마지막 황세자와 덕혜공주의 묘도 함께 볼수있습니다

 洪陵- 裕陵(홍릉유릉)-입장하기위해 입장료를 지불해야하는데요 성인 1,000원 입니다

  洪陵- 裕陵(홍릉유릉)-입장시간과 요금안내

  洪陵- 裕陵(홍릉유릉)-홍삼문

  洪陵- 裕陵(홍릉유릉)-연못

  ▲우리는 먼저 왼쪽으로 향해서 洪陵(홍릉)을 먼저 보게되는데요 -홍릉이 눈에 들어옵니다

  洪陵(홍릉)-안내: 고종황제와 명성황후의 합장릉 안내

   洪陵(홍릉)-홍살문  인증

   洪陵(홍릉)-우측


능 상설()의 특징은 대한제국()의 선포에 따라 황제가 됨으로써 능역 조성도 명나라 태조의 효릉() 방식을 따랐으며, 따라서 지금까지 없었던 구조물이 대폭 확장되었다.

즉, 능침의 호석()인 양석()과 호석() 대신 능침 앞에서부터 기린·코끼리·사자·해치·낙타 각 1쌍, 마석() 2쌍을 2단의 하대석 위에 올려놓았다. 또, 종래의 정자각() 대신 일자형()의 정면 5칸, 측면 4칸의 침전(殿)을 세웠으며, 문인석의 금관조복()과 무인석의 성장()이 강조되었다.




 

 洪陵(홍릉)-좌측

능 상설()의 특징은 대한제국()의 선포에 따라 황제가 됨으로써 능역 조성도 명나라 태조의 효릉() 방식을 따랐으며, 따라서 지금까지 없었던 구조물이 대폭 확장되었다.

즉, 능침의 호석()인 양석()과 호석() 대신 능침 앞에서부터 기린·코끼리·사자·해치·낙타 각 1쌍, 마석() 2쌍을 2단의 하대석 위에 올려놓았다. 또, 종래의 정자각() 대신 일자형()의 정면 5칸, 측면 4칸의 침전(殿)을 세웠으며, 문인석의 금관조복()과 무인석의 성장()이 강조되었다.


 洪陵(홍릉)-

 洪陵(홍릉)-좌측 무인석과 문인석

 洪陵(홍릉)-우측 문인석과 무인석

 洪陵(홍릉)-정자각과 돌계단

 洪陵(홍릉)-정자각

 洪陵(홍릉)-정자각 제수진설도

 洪陵(홍릉)-碑閣안내

  洪陵(홍릉)-碑閣

  洪陵(홍릉)-碑閣  내부 碑文

大韓 高宗太皇帝 洪陵 明成太皇后祔左(대한 고종태황제 홍릉 명성태황후부좌)

  洪陵(홍릉)-출입금지여서 멀리서 담아보았습니다

  洪陵(홍릉)-

사적 제207호. 조선 제26대왕 고종과 명성황후 민씨의 묘소로 을좌신향()한 동봉이강릉()이다.

고종은 1919년 1월 21일덕수궁 함녕전(殿)에서 67세로 죽어, 같은해 3월 3일양주군 미금면 금곡리에 초장봉릉( : 처음 장사를 지내고 능을 만듦)되었다.

그 뒤 명성황후 민씨는 1895년 8월 20일경복궁에서 일본 낭인()들에게 시해당하여, 같은해 10월 28일한성부 동부 인창방() 청량리(현 숭인원)에 초장되었으며, 1919년 1월 16일 현재의 위치로 능을 옮겼다.


  洪陵(홍릉)-祭井(제정)~제사때 물을 긷는 우물 안내문

 洪陵(홍릉)-祭井(제정)~제사때 물을 긷는 우물

 洪陵(홍릉)-조선 제26대왕 고종과 명성황후 민씨의 묘소

  洪陵(홍릉)-조선 제26대왕 고종과 명성황후 민씨의 묘소

 英園-懷仁園(영원과 회인원 안내판)

英園(영원):조선 제27대 마지막황태자인 의민황태자(1897~1970영친왕) 와 의민황태자비1901~1989영친왕비)의 합장릉이다.

懷仁園(회인원):의민황태자의 둘째 아들인 황세손 李玖(이구)의 묘이다

 英園-모습이 한눈에 들어옵니다

 英園-정자각

 英園-비각 안내

 英園-碑閣

  英園-碑

大韓 懿愍皇太子 英園    懿愍皇太子妃 祔左(대한 의민황태자 영원,의민황태자비부좌)

 懷仁園-(이구李玖황세손)의 원이다

李玖(이구)황세손은 의민황태자(영친왕)와  의민황태자비 사이에서 태어난 둘째아들로 일본에서 생활하였다.

1953년 미국으로 유학을 떠나 그 곳에서 건축가로 활동하였으며 1963년 귀국한 후 창덕궁과 일본을 오가며 지냈다. 2005년 세상을 떠나자 영원 경내에 모셔졌다

 懷仁園-(이구李玖 황세손)의 원이다

 英園~의민황태자와 의민황태자비의 합장원이다

의민황태자는 고종황제와 순현황귀비의 아들로1900년에 영친왕으로 책봉되고 1907년에 황태자가 되었다. 1910년 국권을 잃은 뒤에는 왕세자로 불리다가 순종황제 승하 후 명목상 이왕으로 불렸다. 1920년 일제에 의해 일본 왕족 마사코와 결혼한 이후 일본에 거주하다가 1963년에 대한민국으로 귀국하여 1970년에 창덕궁에서 세상을 떠났다. 의민황태자비는 일본 왕족 모리바사 친왕의 딸로 의민황태자와 결혼 후 진 과 구 두 아들을 낳았다. 1963년에 의민황태자와 함께 귀국하여 여생을 사회복지사업에 헌신 하였으며,1989년에 세상을 떠나자 英園에 합장되었다

 英園~의민황태자와 의민황태자비의 합장원이다

 英園~의민황태자와 의민황태자비의 합장원이다

 英園~의민황태자와 의민황태자비의 합장원이다

 英園~의민황태자와 의민황태자비의 합장원--무인석 동물석 문인석 장명등

 義親王墓(의친왕묘) 德惠翁主墓(덕혜옹주묘) 설명

  洪陵- 裕陵(홍릉유릉)은 영원과 회인원 또 의친왕과 덕혜옹주의 묘를 함께볼수있는점이 색다릅니다

  德惠翁主墓(덕혜옹주묘) 義親王墓(의친왕묘) 이정표

  義親王墓(의친왕묘)설명~고종황제와 귀인장씨 사이에서 태어난 의친왕과 의친왕비 김씨의 합장묘이다.

의친왕은 1891년에 의화군에 봉해졌고 1900년에 의친왕에 책봉되었다.보빙대사와 특파대사의 업무를 수행하였으며 미국에 유학을 하기도 하였다. 1906년에 대한적십자사 총재가 되었으며 1919년에는 의병 활동을 지원하고 비밀 결사 단체인 대동단에 가입하여 독립운동의 전면에 나서고자 하였으나 실패하였다. 1955년에 세상을 떠나자 처음에는 화양리에 모셨다가 1965년에 서삼릉 경내로 천장하였고 1995년에 다시 이곳으로 모셔왔다. 의친왕비 김씨는 金思濬(김사준)의딸로 1893년 의친왕과 혼인하여 1907년에 의친왕비에 책봉되었다, 슬하에 자손없이 1964년에 세상을 떠났다, 홍유릉 경내에 모셨다가 1995년에 의친왕묘를 친장할때 의친왕과 합장하였다.

 義親王墓(의친왕묘)

 義親王墓(의친왕묘)

 義親王墓(의친왕묘)

  德惠翁主墓(덕혜옹주묘)설명

 德惠翁主墓(덕혜옹주묘)~덕혜옹주(,1912~1989)는 고종과 귀인 양씨( ) 사이에서 태어났다. 1925년 일본으로 끌려가 쓰시마섬 도주의 후예인 다케유키와 강제 결혼하였다가 구황실복원사업이 전개되자 귀국하여 낙선재에서 살았다.


 德惠翁主墓(덕혜옹주묘)~묘역은 남양주시 금곡동 산141번지 영원() 오른쪽 산등성이에 있으며, 무덤은 최근에 조성되었다. 봉분 뒤에는 흙으로 나지막한 담을 둘렀으며, 봉분 앞에는 상석(), 향로석(), 장대석(), 망주석(), 장명등() 묘표, 등의 석물을 두었다. 묘표는 사각받침대와 대리석으로 만든 월두형()의 비신()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석은 북석으로 받치고 있는데 북석의 사방에는 귀신을 쫓아 준다는 귀면()무늬가 새겨져 있다.


  ▲裕陵(유릉)~순종황제와 순명황후.순정황후의릉 설명

  ▲裕陵(유릉)재실 설명

  ▲裕陵(유릉)재실 모습

  ▲裕陵(유릉)~전경--조선왕릉중 유일한 세분이 합장된 릉이다

  ▲裕陵(유릉)~

  ▲裕陵(유릉)~입구의 동물석 우측


능이 조성된 언덕 아래에는 정자각 대신 침전(殿)이 있고, 침전 앞 참도() 양쪽에 문인석·무인석과 기린·코끼리·사자·해태·낙타·말 등 동물 석상이 차례로 배치되었다. 침전 외에 비각·홍살문·수복방·재실 등의 부속건축물이 있다



  ▲裕陵(유릉)~동물석 좌측

  ▲裕陵(유릉)~

  ▲裕陵(유릉)碑閣내의 碑

純宗孝皇帝裕陵 純明孝皇后祔左,純貞孝皇后祔右(순종효황제유릉,순명효황후부좌,순정효황후부우)

  ▲裕陵(유릉)~

  ▲裕陵(유릉)~

  ▲裕陵(유릉)~

  ▲裕陵(유릉)

  ▲裕陵(유릉)~조선시대의 마지막 왕릉인 유릉()은 조선 왕릉 중에서 하나의 봉분에 세 명을 합장한 유일한 동봉삼실릉()이다.

  ▲裕陵(유릉)재실·수복방등의 부속건축물이  함께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