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5월13일 전라남도 여행의 일정으로 담양 죽녹원을 구경하다 주변 제방의 고목이 관방제림 천연기념물제366호인것을 알게되었다
▲천연기념물제366호담양관방제림(潭陽 官防堤林)안내판
▲천연기념물제366호담양관방제림(潭陽 官防堤林)
▲천연기념물제366호담양관방제림(潭陽 官防堤林)
▲천연기념물제366호담양관방제림(潭陽 官防堤林)
▲천연기념물제366호담양관방제림(潭陽 官防堤林)1번나무 음나무
▲천연기념물제366호담양관방제림(潭陽 官防堤林)주변의 국수골목
▲천연기념물제366호담양관방제림(潭陽 官防堤林)2번나무
▲천연기념물제366호담양관방제림(潭陽 官防堤林)3번나무
▲천연기념물제366호담양관방제림(潭陽 官防堤林)4번나무
▲천연기념물제366호담양관방제림(潭陽 官防堤林)5번나무
▲천연기념물제366호담양관방제림(潭陽 官防堤林)6번나무
▲천연기념물제366호담양관방제림(潭陽 官防堤林) 표지석
담양읍을 감돌아 흐르는 담양천의 북쪽 언덕에 따라 관방제림이 조성되어 있는데 제방을 따라 각종의 노거목이 줄지어 서 있다. 표고 약 500m되는 곳이다. 이 관방제림은 담양읍 남산리 동정(東亭) 마을부터 시작해서 담양읍 천변리(川邊里)까지 이어지는데 현재는 수북면 황금리를 거쳐 대전면 강의리까지 길게 이어져 있다. 그러나 역사적으로 말하는 관방제(官防堤)는 천변리의 우시장까지를 말하고 그 길이는 약 2㎞에 이르고 있다.
관방제림을 구성하고 있는 나무의 종류로는 푸조나무(111그루), 팽나무(18그루), 벚나무(9그루), 음나무(1그루), 개서어나무(1그루), 곰의말채, 갈참나무 등으로 약 420여 그루가 자라고 있다. 현재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구역안에는 185그루의 오래되고 큰 나무가 자라고 있다. 전하는 말에 의하면 큰 나무는 300∼400년 전에 심어진 것이고, 작은 나무는 철종 5년(1854)에 황종림 담양부사가 심은 것이라고 한다.
담양 관방제림은 홍수피해를 막기 위해 제방을 만들고 나무를 심은 인공림으로 우리 선조들의 자연재해를 막는 지혜를 알 수 있는 역사 및 문화적 자료로서의 가치가 크므로 천연기념물로 지정·보호하고 있다.
'천연기념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천연기념물제397호 장수장수리 의암송(長水 長水里 義巖松) (0) | 2019.06.05 |
---|---|
천연기념물제107호진도쌍계사상록수림(珍島 雙溪寺 常綠樹林) (0) | 2019.05.18 |
천연기념물제431호태안신두리사구 (0) | 2018.12.05 |
천연기념물제491호하동 축지리 문암송 (河東 丑只里 文岩松) (0) | 2018.08.11 |
천연기념물제445호 河東松林 (0) | 2018.08.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