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6월18일 100대명산 鷄龍山(계룡산) 산행을 다녀왔다
산행코스:東鶴寺(동학사)-남매탑-三佛峰(삼불봉)775m-자연성능구간-觀音峯(관음봉)766m-연천봉-甲寺(갑사)
산행거리:약9.8km, 산행소요시간:약6시간30분(휴식시간포함), 산행인원:13명
▲산행들머리 鷄龍山國立公園 東鶴寺 주차장 지나 동학사입구
▲鷄龍山 東鶴寺 일주문
▲鷄龍山 東鶴寺 가는 계곡과 진입로 풍경
▲鷄龍山 東鶴寺 觀音庵
▲鷄龍山 東鶴寺 觀音庵
▲鷄龍山 東鶴寺 觀音庵지나 산행 이정표
▲鷄龍山 東鶴寺 가는 진입로 풍경
▲이곳부터가 鷄龍山 東鶴寺
▲鷄龍山 탐방안내도
▲鷄龍山 東鶴寺 지나 관음봉 가는 다리
▲鷄龍山 남매탑쪽으로 가기위해 알바 ~다시 내려가는 모습
▲남매탑 이정표 갈림길 까지 왔던길 다시 내려갑니다.
▲약1.3km왕복 알바후 鷄龍山 東鶴寺를 지나 남매탑가는길 이정표
▲鷄龍山 남매탑 가는길 작은 폭포
▲鷄龍山 남매탑 이정표~천정탐방지원센터 갈림길입니다
▲鷄龍山(계룡산)男妹塔(남매탑)
▲鷄龍山(계룡산)男妹塔(남매탑)설명
▲鷄龍山(계룡산)男妹塔(남매탑) 상원암 복원 조감도
▲鷄龍山(계룡산)男妹塔(남매탑)~이곳이 청량사지 였군요 하나는 5층석탑이고 하나는 7층석탑이네요
▲鷄龍山(계룡산) 청량사지 男妹塔(남매탑)
▲鷄龍山(계룡산) 청량사지 男妹塔(남매탑)
▲鷄龍山(계룡산) 청량사지 男妹塔(남매탑)
▲鷄龍山(계룡산) 청량사지 男妹塔(남매탑)
▲鷄龍山(계룡산) 청량사지 男妹塔(남매탑) 이정표
▲鷄龍山(계룡산) 청량사지 男妹塔(남매탑)지나 삼불봉 가는길 쉼터
▲鷄龍山(계룡산) 청량사지 男妹塔(남매탑)지나 금잔디고개 삼불봉 갈림길 이정표
▲鷄龍山(계룡산)삼불봉가는길 철계단
▲이곳이 鷄龍山(계룡산) 三佛峰(삼불봉)해발775m
▲이곳이 鷄龍山(계룡산) 三佛峰(삼불봉)해발775m
▲이곳이 鷄龍山(계룡산) 三佛峰(삼불봉)해발775m
▲이곳이 鷄龍山(계룡산) 三佛峰(삼불봉)해발775m
▲이곳이 鷄龍山(계룡산) 三佛峰(삼불봉)해발775m
▲이곳이 鷄龍山(계룡산) 三佛峰(삼불봉)해발775m
▲이곳이 鷄龍山(계룡산) 三佛峰(삼불봉)해발775m
▲이곳이 鷄龍山(계룡산) 三佛峰(삼불봉)해발775m 조망안내
▲鷄龍山(계룡산) 三佛峰(삼불봉)해발775m에서의 천왕봉 조망
▲鷄龍山(계룡산) 三佛峰(삼불봉)해발775m지나 자연성릉 가는길 풍경
▲鷄龍山(계룡산) 三佛峰(삼불봉)해발775m지나 자연성릉 가는길 풍경
▲鷄龍山(계룡산) 三佛峰(삼불봉)해발775m지나 자연성릉 가는길 풍경
▲鷄龍山(계룡산) 三佛峰(삼불봉)해발775m지나 자연성릉 가는길 풍경
▲鷄龍山(계룡산) 三佛峰(삼불봉)해발775m지나 자연성릉 가는길 풍경
▲鷄龍山(계룡산) 三佛峰(삼불봉)해발775m지나 자연성릉 가는길 풍경
▲鷄龍山(계룡산) 三佛峰(삼불봉)해발775m지나 자연성릉 가는길 잠시 휴식시간~간식타임
▲鷄龍山(계룡산) 三佛峰(삼불봉)해발775m지나 자연성릉 가는길 노송
▲鷄龍山(계룡산) 三佛峰(삼불봉)해발775m지나 자연성릉 가는길 노송
▲鷄龍山(계룡산) 자연성릉 구간 풍경
▲鷄龍山(계룡산) 자연성릉 구간 풍경
▲鷄龍山(계룡산) 자연성릉 구간 풍경
▲鷄龍山(계룡산) 자연성릉 구간 풍경
▲鷄龍山(계룡산) 자연성릉 구간 풍경~천왕봉 조망
▲鷄龍山(계룡산) 자연성릉 구간 끝나는지점에서 관음봉과 관음봉오르는계단
▲鷄龍山(계룡산) 자연성릉 구간 끝나는지점에서 관음봉과 관음봉오르는계단
▲鷄龍山(계룡산) 觀音峯(관음봉)오르면서 지나온 삼불봉과 자연성릉구간
▲鷄龍山(계룡산) 觀音峯(관음봉)가는길
▲鷄龍山(계룡산) 觀音峯(관음봉)가는길 계단구간
▲鷄龍山(계룡산) 觀音峯(관음봉)가는길 계단구간에서 지나온 자연성릉 풍경
▲鷄龍山(계룡산) 觀音峯(관음봉)가는길 계단구간
▲鷄龍山(계룡산) 觀音峯(관음봉)가는길 계단구간~뒤따르는 일행들
▲鷄龍山(계룡산) 觀音峯(관음봉)조망 안내판
▲鷄龍山(계룡산) 觀音峯(관음봉)에서 지나온 자연성능 구간 조망
▲鷄龍山(계룡산) 觀音峯(관음봉)정상 이정표
▲鷄龍山(계룡산) 觀音峯(관음봉)정상
▲鷄龍山(계룡산) 觀音峯(관음봉)정상 ~觀音峯(관음봉)閑雲(한운)안내판
▲鷄龍山(계룡산)觀音峯(관음봉)766m~정상 해발높이 수정 안내판
▲鷄龍山(계룡산)觀音峯(관음봉)에서 천왕봉방향조망
▲鷄龍山(계룡산)觀音峯(관음봉)766m 정상석
▲鷄龍山(계룡산)觀音峯(관음봉)766m 정상석
▲鷄龍山(계룡산)觀音峯(관음봉)766m 정상석
▲鷄龍山(계룡산)觀音峯(관음봉)766m 에서 하산방향 연천봉 조망
▲鷄龍山(계룡산)觀音峯(관음봉)766m 하산길 동학사 연천봉 갈림길 이정표
▲鷄龍山(계룡산)連天峯(연천봉)夕刻(석각)안내판
方百馬角 口或禾生(방백마각 구혹화생)-뚯풀이~방(方)은 4방이요 글자도4획이라 4를 뜻한다.
마(馬)는 오(午)자인데 오라는 글자는 80(八十)을 의미한다,각(角)은 뿔이다. 모든 짐승이 두개의 뿔이 있으므로 2가 된다, 이를 모두 더하면 482란 숫자가 된다.구(口)와 혹(或)은 국(國)자가 되고 화(禾)와 생(生)을 합치면 이(移)의 옛글자가 된다 전체를 다시 조합하면 "四百八十二 國移"란 구절이 되어서 조선은 개국 482년 만에 망하고 새로운 시대가 도래한다는 의미로 해석되어 왔다
▲鷄龍山(계룡산)連天峯(연천봉)夕刻(석각)
계룡산은 이 지역의 풍수지리적 특징으로 인하여 예로부터 많은 사람들의 관심을 받아왔다.특히1393년(태조2녀) 신도 건설공사 이후부터 풍수설과 어우러진 계룡산은 각종 예언과 연결되는 중요한 장소가 되었다. 연천봉석각은 계룡산이 갖는 이러한 도참적 중요성을 확인할수있는 대표적인 문화자원이다
▲鷄龍山(계룡산)連天峯(연천봉)落照(낙조)안내판
▲운무에 가려지는 鷄龍山(계룡산) 천왕봉
▲지나온 鷄龍山(계룡산)觀音峯(관음봉)조망
▲鷄龍山(계룡산)連天峯(연천봉) 헬기장옆 기이한 소나무
▲鷄龍山(계룡산)連天峯(연천봉) 헬기장옆 기이한 소나무
▲鷄龍山(계룡산)甲寺(갑사)계곡으로 하산중
▲鷄龍山(계룡산)甲寺(갑사)계곡으로 하산중 고목
▲甲寺(갑사)계곡
▲鷄龍山(계룡산)甲寺(갑사)
▲鷄龍山(계룡산)甲寺(갑사)대적전앞 배롱나무
▲鷄龍山(계룡산)甲寺(갑사)대적전앞 사리탑
▲鷄龍山(계룡산)甲寺(갑사)대적전과 사리탑
▲鷄龍山(계룡산)甲寺(갑사)대적전앞 인증샷
▲鷄龍山(계룡산)甲寺(갑사)철당간
▲산행날머리 鷄龍山(계룡산)甲寺(갑사)탐방지원센터앞
▲산행날머리 鷄龍山(계룡산)甲寺(갑사)탐방지원센터앞 산행안내도
▲산행날머리 鷄龍山(계룡산)甲寺(갑사)탐방지원센터
▲산행날머리 鷄龍山(계룡산)甲寺(갑사)일주문
'명산100'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설악산 권금성 (0) | 2019.07.03 |
---|---|
100대명산 雪嶽山 大靑峯1,708m (0) | 2019.07.03 |
100대명산智異山(지리산)1,9015m (0) | 2019.06.08 |
여수금오산(金鰲山)323m (0) | 2019.05.16 |
100대명산 朱雀-德龍山 (0) | 2019.04.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