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5월14일 전라남도여행중 강진 무위사를 구경하면서 무위사 극락보전의 아미타여래삼존탱화가 국보제313호로 지정된것을 알게되었다
▲국보제313호 강진무위사극락보전아미타여래삼존벽화(康津 無爲寺 極樂寶殿 阿彌陀如來三尊壁畵)
조선 성종 7년(1476)에 화원 대선사 해련에 의해 조성된 것으로 추정되는 이 벽화는 온화한 색채나 신체의 표현 등 고려시대의 특징적 요소를 가지고 있으면서도 간결한 무늬나 본존불과 같은 크기의 기타 인물 표현 등 조선 초기 불화의 새로운 특징들이 잘 나타나 있어 고려식 조선 초기 불화연구에 중요한 자료이다.
▲국보제313호 강진무위사극락보전아미타여래삼존벽화(康津 無爲寺 極樂寶殿 阿彌陀如來三尊壁畵)
극락보전 후불벽 앞면에 그려져 있는 아미타삼존불벽화이다. 앉은 모습의 아미타불을 중심으로 왼쪽에 관음보살이, 오른쪽에는 지장보살이 서 있는 구도를 하고 있다. 화면의 맨 위부분에는 구름을 배경으로 좌우에 각각 3인씩 6인의 나한상을 배치하고 그 위에는 작은 화불이 2구씩이 그려져 있다.
▲국보제313호 강진무위사극락보전아미타여래삼존벽화(康津 無爲寺 極樂寶殿 阿彌陀如來三尊壁畵)
아미타극락회도 장면을 그린 이 벽화는 앞에 모셔진 아미타삼존불상과 매우 비슷한 모습을 하고 있다. 중앙의 본존불은 비교적 높은 연꽃대좌 위에 결가부좌한 모습으로 양어깨를 모두 감싼 옷을 입고 있으며 뒤로는 키모양의 광배가 표현되었다. 왼쪽에 서있는 관음보살은 머리칼이 어깨 위에 흘러내린 모습에 얇고 투명한 겉옷을 입고 있으며, 오른쪽의 지장보살은 오른손으로 석장을 짚고 왼손에는 보주를 들고 있는 모습이다. 채색은 주로 녹색과 붉은 색을 사용하였다.
▲국보제313호 강진무위사극락보전아미타여래삼존벽화(康津 無爲寺 極樂寶殿 阿彌陀如來三尊壁畵)가 있는 극락보전 천정모습
'국보탐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보제50호 영암 도갑사 해탈문 (靈巖 道岬寺 解脫門) (0) | 2019.11.27 |
---|---|
국보제144호 영암월출산마애여래좌상(靈巖 月出山 磨崖如來坐像) (0) | 2019.11.27 |
국보제13호 강진무위사극락보전(康津 無爲寺 極樂寶殿) (0) | 2019.05.16 |
국보제304호 여수진남관(麗水 鎭南館) (0) | 2019.05.16 |
국보제10호실상사백장암삼층석탑 (0) | 2018.02.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