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3월5일 제주도 한라산 윗세오름 산행을 다녀왔다
산행코스:어리목탐방지원센터-사제비샘-사제비동산-만세동산전망대=윗세오름대피소-남볔분기점-윗세오름대피소-노루샘-선작지왓-윗세족은오름전망대-병풍바위-영실기암-영실휴게소
산행거리:약8.7km, 산행시간:약4시간. 산행인원:8명(이지훈,이동근,김주원,서석준,박규환,차복숙,김양연.이영희)
▲09:34 산행시작지점 어리목탐방안내소(해발약950m)
▲09:34 산행시작지점 어리목탐방안내소 8인 인증
▲09:36산행시작지점 어리목 탐방안내소를 지나 본격적인산행이 시작됩니다
▲10:13 산행시작 40여분 경과 해발 1,300m 지점
▲10:35 산행시작 60여분 경과 해발 1,400m 지점
▲10:37 산행시작 60여분 경과 해발 1,400m 지점을 지나자 등산로에 눈이 쌓여있네요
▲급경사 구간은 이제 없습니다~구상나무숲 안내
▲10:38 산행시작 64분경과~사재비동산입니다
▲10:38 산행시작 64분경과~사재비동산입니다
▲10:43 산행시작 69분경과~사재비샘
▲10:43 산행시작 69분경과~사재비샘
▲10:45 산행시작 71분경과~사재비동산 등산로- 이곳부터 대평원이 펼져집니다
▲10:45 산행시작 71분경과~사재비동산 등산로 고사목
▲한라산곤충 안내판
▲10:49 산행시작 75분경과~사재비동산 등산로
▲10:49 산행시작 75분경과~사재비동산 등산로
▲10:49 산행시작 75분경과~사재비동산 등산로
▲10:49 산행시작 75분경과~사재비동산 등산로
▲10:49 산행시작 75분경과~사재비동산 등산로
▲11:07산행시작 93분경과~만세동산전망대가 보입니다
▲11:07산행시작 93분경과~만세동산전망대 향하는중
▲11:08산행시작 94분경과~만세동산전망대
▲11:08산행시작 94분경과~만세동산전망대
▲11:08산행시작 94분경과~만세동산전망대
▲11:08산행시작 94분경과~만세동산전망대
▲11:08산행시작 94분경과~만세동산전망대
▲11:10산행시작 96분경과~만세동산전망대
▲11:10산행시작 96분경과~만세동산전망대
▲11:10산행시작 96분경과~만세동산전망대
▲11:10산행시작 96분경과~만세동산전망대
▲11:13산행시작 100분경과~만세동산전망대
▲11:13산행시작 100분경과~만세동산전망대
▲11:13산행시작 100분경과~만세동산전망대
▲11:13산행시작 100분경과~만세동산전망대
▲만세동산전망대 해발1,606m
▲11:13산행시작 100분경과~만세동산전망대
▲11:18산행시작 104분경과~만세동산전망대
▲11:19산행시작 105분경과~만세동산전망대지나 윗세오름가는중
▲11:19산행시작 105분경과~만세동산전망대지나 윗세오름가는중
▲백록담 화구벽과 윗세오름이 눈앞에 보입니다
▲11:35산행시작 121분경과~만세동산전망대지나 윗세오름가는중
▲11:35산행시작 121분경과~만세동산전망대지나 윗세오름가는길 설경
▲11:40산행시작 126분경과~만세동산전망대지나 윗세오름가는중 고사목
▲11:51산행시작 127분경과- 윗세오름도착
▲11:51산행시작 127분경과- 윗세오름도착
▲11:51산행시작 127분경과- 윗세오름도착
▲11:51산행시작 127분경과- 윗세오름도착
▲11:51산행시작 127분경과- 윗세오름도착
▲11:51산행시작 127분경과- 윗세오름도착
▲11:51산행시작 127분경과- 윗세오름도착
▲11:51산행시작 127분경과- 윗세오름도착
▲11:51산행시작 127분경과- 윗세오름도착
▲11:51산행시작 127분경과- 윗세오름도착
▲11:54산행시작 130분경과- 윗세오름대피소출발 북볔갈림길 출발
▲11:54산행시작 130분경과- 윗세오름대피소출발 북볔갈림길 가는중
▲11:54산행시작 130분경과- 윗세오름대피소출발 북볔갈림길 가는중
▲11:55 윗세오름지나 해발고도 표지석
▲11:55산행시작 131분경과- 한라산 분화구 화구볔이 가까워집니다
▲11:56 눈쌓인 겨울산 - 겨울산행의 멋진풍광을 온몸으로 느껴봅니다
▲11:56 눈쌓인 겨울산 - 겨울산행의 멋진풍광을 온몸으로 느껴봅니다
▲11:56 눈쌓인 겨울산 - 겨울산행의 멋진풍광을 온몸으로 느껴봅니다
▲11:56 눈쌓인 겨울산 - 겨울산행의 멋진풍광을 온몸으로 느껴봅니다
▲12:00 눈쌓인 겨울산 - 이곳도 오르락 내리락
▲12:00 눈쌓인 겨울산
▲12:01 백록담 화구벽 근접 도착
▲12:01 백록담 화구벽 근접 도착 ~우리는 이곳에서 영실 방향으로 가야하기때문애 뒤돌아갑니다
▲12:01 백록담 화구벽 근접 도착
▲12:01 백록담 화구벽 근접 도착
▲12:01 백록담 화구벽 근접 도착
▲12:02 백록담 화구벽 근접 도착
▲12:03 백록담 화구벽 근접 도착
▲12:04 백록담 화구 북볔~남볔갈림길 가는중
▲12:04 백록담 화구 북볔~남볔갈림길
▲12:04 백록담 화구 북볔~남볔갈림길
▲12:04 백록담 화구 북볔~남볔갈림길
▲12:05 백록담 화구 북볔~남볔갈림길에서 윗세누운오름이간 무시기인가 담아봤습니다
▲12:05 백록담 화구 북볔~남볔갈림길
▲12:07 백록담 화구 북볔~남볔갈림길 뒤돌아오는길 설경
▲12:10 백록담 화구 북볔~남볔갈림길 뒤돌아오는중 고사목풍경
▲12:10 윗세오름 대피소로 뒤돌아오는중
▲12:10 백록담 화구 북볔~남볔갈림길 뒤돌아오는중
▲12:10 백록담 화구 북볔~남볔갈림길 뒤돌아오는중 고사목 풍경
▲12:13 백록담 화구 북볔~남볔갈림길 뒤돌아오는중
▲12:14 뒤돌아온 윗세오름 대피소
▲12:15 윗세오름 대피소
▲12:16 윗세오름 대피소
▲12:18 윗세오름 대피소
▲12:19 윗세오름 정상표지목
▲12:19 윗세오름 정상표지목
▲12:19 윗세오름 정상표지목
▲12:20 윗세오름 정상표지목
▲12:20 윗세오름 정상표지목
▲12:21 윗세오름 정상표지목
▲12:21 윗세오름 정상표지목
▲12:22 윗세오름 정상표지목
▲12:27윗세족은오름 향하는길
▲12:27 노루샘 통과
▲12:27 노루샘 지나 광활한 대평원이 펼쳐지는데요 이곳이 선작지왓이란곳으로 명승제91호로 지정된곳입니다
▲선작지왓 명승제91호
▲12:30
▲선작지왓 명승제91호 안내판
▲윗세족은오름에서본 오름 조망안내
▲선작지왓 명승제91호
▲선작지왓 명승제91호
한라산 일원이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 등재 및 생물권보존지역으로 지정되어 있으며, 한라산 천연보호구역으로 천연기념물로도 지정되어 있다.
선작지왓은 한라산 고원의 초원지대 중 영실기암 상부에서 윗세오름에 이르는 곳에 있는 평원지대로서, 선작지왓은 ‘작은 돌이 서 있는 밭’이라는 의미가 있는 곳이다.
산철쭉, 털진달래, 눈향나무, 시로미의 군락이 넓게 발달해 있고 누운오름 아래는 연중 물이 흐르는 노루샘이 있다. 그 주변은 백리향, 흰그늘용담, 설앵초, 구름송이풀 등이 자라는 고원습지가 있어 생태적 가치가 큰 지역이다.
명승 지정기준 중 자연경관이 뛰어난 산악·구릉·화산 등에 해당하고, 식물의 저명한 군락지에 해당한다. 「세계문화 및 자연유산의 보호에 관한 협약」에 따른 자연유산에 해당하는 곳 중에서 자연의 미관상 뚜렷한 가치를 갖는 것에 해당된다.
▲선작지왓 명승제91호
▲선작지왓 명승제91호~멋진 장면을 상상하면서 사진을 퍼왔습니다
▲선작지왓 명승제91호
한라산 선작지왓은 털진달래, 산철쭉을 비롯한 낮은 관목류가 널리 분포하며, 4월부터 6월까지 털진달래의 연분홍색과 산철쭉의 진분홍색으로 온 지역을 뒤덮어 산상 화원의 경이로운 장관을 연출하며, 눈 덮인 설원의 한라산 정상과 어우러진 경관은 선경(仙景)을 만들어 자연경관 가치가 뛰어나 명승지로 지정되었다고합니다
▲선작지왓 명승제91호~윗세족은오름 오르는중
▲12:35윗세족은오름 전망대 오르는중
▲12:35윗세족은오름 오르는 풍경
▲12:36 윗세족은오름 전망대 오르는중
▲12:35윗세족은오름오르면서 펼쳐진 선작지왓 풍경
▲12:36 윗세족은오름 전망대에서 한라산백록담 화구벽
▲12:37 윗세족은오름 전망대에서
▲12:38 윗세족은오름 전망대에서
▲12:39 윗세족은오름 전망대에서
▲12:39윗세족은오름 전망대
▲12:40윗세족은오름 전망대
▲12:40윗세족은오름 전망대
▲12:40윗세족은오름 전망대
▲12:40윗세족은오름 전망대
▲12:41윗세족은오름 전망대
▲12:41윗세족은오름 전망대
▲12:41윗세족은오름 전망대
▲12:42윗세족은오름전망대
▲12:42윗세족은오름 전망대 하산중
▲12:48 시로미 안내 ~암고란(岩高蘭)·조이(鳥李)라고도 한다. 높은 산 정상에서 자란다. 높이 10∼20cm이다
▲13:02
▲명승제84호 영실기암과오백나한 전망대
▲12:42하산길 오름풍경 안내~ 오른쪽 불레오름(Bulle Oreum),오른쪽 삼형제오름(Samhyeongje Oreum)
▲12:42하산길 오름풍경 ~ 오른쪽 불레오름(Bulle Oreum),오른쪽 삼형제오름(Samhyeongje Oreum)
▲13:16병풍바위 안내도
▲13:16 병풍바위
▲13:16 명승제84호 영실기암과오백나한
▲13:16 명승제84호 영실기암과오백나한
▲13:16 명승제84호 영실기암과오백나한
▲13:16 명승제84호 영실기암과오백나한
▲13:16 명승제84호 영실기암과오백나한
▲13:55 산행날머리 영실휴게소(해발약1,240m)
▲차량으로 이동 1,100고지 천백도로 휴게소
▲15:04차량으로 이동 1,100고지 천백도로 휴게소~고상돈 기념비
▲15:04차량으로 이동 1,100고지 천백도로 휴게소~고상돈상
▲15:04차량으로 이동 1,100고지 천백도로 휴게소~고상돈상
▲ 1,100고지 천백도로 휴게소 이정표
▲ 1,100고지 천백도로 휴게소 고상돈로 설명
▲ 1,100고지 천백도로 휴게소 에서 바라본 윗세오름
▲ 차량이동 방선문계곡
▲ 방선문계곡
▲13:35 방선문계곡
▲15:35명승제92호 방선문계곡
방선문(訪仙門)은 ‘신선이 사는 곳으로 들어가는 문’, ‘신선이 사는 영산 즉 한라산으로 오르는 곳’ 이라는 의미가 있는 명소로서 영주 12경 중의 하나인 영구춘화의 장소로 알려진 경승지이다.
▲15:35명승제92호 방선문계곡
▲15:39명승제92호 방선문계곡
방선문은 거대하고 특이한 암석과 주변의 식생 그리고 수계가 잘 조화된 경관지여서 옛날부터 시인 묵객들이 즐겨 찾았던 곳이며, 지금도 이들이 새겨놓은 마애명들이 곳곳에 남아 있어 역사가 있는 문화적 명소임을 잘 보여주고 있다.
▲15:39명승제92호 방선문계곡
▲15:39명승제92호 방선문계곡
▲15:39명승제92호 방선문계곡
▲15:39명승제92호 방선문계곡
▲15:39명승제92호 방선문계곡
▲15:45명승제92호 방선문계곡
▲15:45명승제92호 방선문계곡
▲15:45명승제92호 방선문계곡
▲15:47명승제92호 방선문계곡
▲15:45명승제92호 방선문계곡 소나무
▲16:03 산천단곰솔 천연기념물제160호
제주시 곰솔은 매우 오래되고 큰 소나무로서 생물학적 가치가 크고, 우리 조상들이 자연물에 대해 어떠한 생각을 하고 있었는가를 알 수 있는 자료로서의 가치가 매우 크므로 천연기념물로 지정하여 보호하고 있다.
▲16:03 산천단곰솔 천연기념물제160호
▲16:03 산천단곰솔 천연기념물제160호
▲16:03 산천단곰솔 천연기념물제160호
▲16:03 산천단곰솔 천연기념물제160호
▲16:03 산천단곰솔 천연기념물제160호
▲목사이약동 기적비 안내
▲목사이약동 기적비
▲16:09 산천단곰솔 천연기념물제160호
▲16:09 산천단곰솔 천연기념물제160호
▲16:11 산천단소개
이사진을 마지막으로 제주도 윗세오름산행과 여행을 마침니다, 함께 윗세오름산행에 동행해주신분들께 감사드립니다
'명산100' 카테고리의 다른 글
100대명산 朱雀-德龍山 (0) | 2019.04.17 |
---|---|
100대명산 함백산1,573m최단코스 (0) | 2019.03.20 |
100대명산 남덕유산 (0) | 2019.01.25 |
도비산 (0) | 2018.12.30 |
대덕산(大德山)1,307m (0) | 2018.12.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