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년8월6일 충남 태안군 태안읍 동문리산5번지에있는 국보제307호태안마애삼존불을 보고왔다
태안마애삼존불을 보기위해 태안초등학교 옆으로 나있는 백화산 등산로를 이용 교장바위길등산로로 30분가량 오르면 태을암사찰이있고 그옆우측 50m지점에 위치하고있음
▲마애삼존불앞의 설명판
▲국보제307호 태안마애삼존불이 모셔져있는 건물~ 건물안에 있네요
▲실내에 있어 조명이 시원치않아 스마트폰으로는 잘 않나옵니다
▲실내에 있어 조명이 시원치않아 스마트폰으로는 잘 않나옵니다
▲스마트폰 후레쉬를 터트려 촬영
▲스마트폰 후레쉬를 터트려 촬영
▲스마트폰 후레쉬를 터트려 촬영
우리나라 마애불상의 초기 예로 부채꼴 바위 면에 사각형 감실을 마련하여 중앙에 보살상을 두고 좌우에 불상을 배치해 놓음으로써, 1구의 불상과 2구의 보살상으로 이루어지는 일반적인 삼존불상과 달리 2구의 불입상과 1구의 보살입상이 한 조를 이루는 특이한 삼존불상 형식을 보여주고 있다.
2구의 불입상은 양감 풍부한 얼굴에 크게 번지는 미소, 넓게 벌어진 당당한 어깨와 장대한 체구, U자형 주름과 y형 내의가 보이는 착의법, 도톰한 듯 날카로운 대좌의 연꽃무늬 등 세부적으로는 거의 동일한 양식 특징을 보인다.
좌우 두 불상 사이에 끼여 있는 듯 뒤로 물러나 작게 새겨진 보살입상은 높은 관에 아무런 무늬도 나타나 보이지 않지만 본래는 장식이 있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타원형으로 길고 통통한 얼굴은 잔잔한 미소를 머금어 원만상이다. 어깨를 덮어 내린 천의는 길게 내려와 무릎 부분에서 X자형으로 교차하며 묵중하게 처리되었으며 배 앞에 모은 두 손은 오른손을 위로 하여 보주를 감싸 쥔 이른바 봉보주인(捧寶珠印)을 나타내고 있다.
불신의 하반부가 노출되어 백제시대의 연화대좌가 확인됨으로써 그 도상적 가치를 더욱 돋보이게 하고 있다. 중국과의 교류상 요충지에 자리함으로써 6세기 중반 경 중국 북제양식 불상과의 영향 관계 파악에 매우 중요한 작품이며 서산 용현리 마애여래삼존상(국보 제84호)에 선행하는 조형양식을 지닌 백제 최고(最古)의 마애불상이란 점에서 국보로서의 가치가 인정된다.
'국보탐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보제184호금동관음보살입상 (0) | 2014.11.03 |
---|---|
국보제317호태조어진 (0) | 2014.09.20 |
국보제305호세병관 (0) | 2014.06.23 |
국보제120호용주사범종 (0) | 2014.04.09 |
국보제276호 초조본유가사지론 (0) | 2014.02.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