雉岳山 龜龍寺 (치악산 구룡사)
2019년10월31일 마지막 단풍을 보고싶어 국립공원 雉岳山 산행을 갔다가 雉岳山 龜龍寺를 구경하게되었다.
雉岳山 龜龍寺 (치악산 구룡사)는 대한불교조계종 제4교구 본사인 월정사(月精寺)의 말사이다. 신라의 승려 의상(義湘)이 668년(문무왕 8)에 세운 절로, 창건 당시의 절 이름은 구룡사(九龍寺)이다. 이름에 얽힌 9마리 용의 전설이 전해 내려오며, 창건 이후 계속하여 도선(道詵) ·자초(自超) ·휴정(休靜) 등이 거쳐 가면서 영서(嶺西) 수찰(首刹)로서의 구실을 다하였다. 조선 중기 이후 절 입구에 있는 거북 모양의 바위 때문에 절이름도 ‘아홉구’자를 ‘거북구’자로 고쳐 쓰게 되었다고 한다.
▲雉岳山 龜龍寺 圓通門
절 입구에 있는 ‘황장금표(黃腸禁標)’는 조선시대 이 일대에서의 무단벌목(無斷伐木)을 금한다는 방으로, 전국에서 유일한 역사적 자료이다. 현존 당우는 대웅전 ·보광루(普光樓) ·삼성각(三聖閣) ·심검당(尋劍堂) ·설선당(說禪堂) 등이 있는데, 수차례 대웅전을 중수하였음에도 그 안에 있는 닫집은 옛 모습 그대로 보존되어, 강원도 유형문화재 제24호로 지정되었다.
▲雉岳山 龜龍寺 보호수 은행나무
▲雉岳山 龜龍寺 보호수 은행나무
▲雉岳山 龜龍寺 보호수 은행나무
▲雉岳山 龜龍寺 보호수 은행나무
▲雉岳山 龜龍寺 大雄殿
▲원주구룡사보광루 (原州龜龍寺普光樓) ~강원도 유형문화재 제145호 안내판
▲원주구룡사보광루 (原州龜龍寺普光樓) ~강원도 유형문화재 제145호
보광루는 치악산 중턱에 위치한 구룡사의 불이문 역할을 하는 건물이다. 구룡사의 진입은 사천왕문을 통과하여 보광루 밑을 지나 대웅전 앞으로 나아가게 되어 있다.
▲雉岳山 龜龍寺 범종각
▲雉岳山 龜龍寺 四天王門
▲雉岳山 龜龍寺 四天王門
▲雉岳山 龜龍寺 四天王門
2019년10월31일